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결국엔 안 만들고 버티면 된다. 직장어린이집.

by 꼰대이공공 2023. 5. 31.
반응형

고용노동부와 보건복지부에서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실태조사 및 명단을 공표하였습니다.

 

- 2022년 기준,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이행률은 91.5% -
 
느낌은 어떠신가요? 과연 직장어린이집 설치가 잘되어있다고 느껴지시나요?

보도자료를 보십시오.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미이행 27개 사업장 명단 공표 | 고용노동부> 뉴스·소식> 보도자료 (moel.go.kr)

 

내일을 위한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제목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미이행 27개 사업장 명단 공표 등록일 2023-05-30  조회 407  - 2022년 기준,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이행률은 91.5%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고용노동부(장관 이

www.moel.go.kr

 

 

여성근로자가 300명 이상이거나, 상시근로자가 500명 이상인 사업장은 직장어린이집 설치가 의무지만 이를 이행하지 않는 일부 사업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직장어린이집 설치하는 것보다 이행강제금을 내는 게 더 이득'이라며 버티는 사업장도 있다고 합니다.

이런 결과는 솜방망이 처벌이 문제입니다. 그리고 매년 그렇지만, 추진중, 추진중, 추진중

추진중이다라고 답변만하고 있는 것도 문제입니다.

아래는 보도자료의 붙임에 있는 내용입니다.

주요사항 내 용
법적 근거 영유아보육법 제14조의2(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미이행 사업장 명단 공표 등), 동법 시행령 제20조의4, 20조의5 (‘12.6.29 시행)
직장어린이집 실태조사 관계부처 합동(복지부, 고용부, 교육부, 시도) 조사 실시(매년 1분기~)
* (고용부) 일반 기업, (교육부) 각급학교 및 대학병원,
() 지방행정기관, (복지부) 국가기관 및 그 외 사업장
* 조사수행 : 육아정책연구소,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
설치 의무 사업장 상시 여성근로자 300 이상 또는 시근로자 500 이상 사업장
공표 사항 사업장 명칭주소상시(여성)근로자 수보육 대상 영유아 수 또는 미이행 사유 등
공표 시기
및 방법
매년 5월 말일,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1년간 게시 및 2개 이상 일간지 게재
이행 기준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 위탁 보육
* 보육수당 지급은 2015년도부터 폐지
공표 대상
(기준)
치 의무 이행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소명결과 공표 제외 사유 해당하지 않는 사업장과 실태조사에 불응한 사업장
공표
제외 사유
설치 대상이 된 날부터 1년이 지나지 아니한 경우 설치계획을 수립하여 설치 중인 경우 보육 수요가 없는 경우 등 심의위원회에서 명단 공표가 필요하지 않다고 인정하는 경우
명단 공표
심의위원회
보건복지부장관이 임명 또는 위촉 : 9
- 복지부(1), 근로자 대표(1), 사업주 대표(1), 법률전문가(1), 공익대표(2), 보육전문가(3)
공표 절차 심의 ⇒ ② 공표대상 사업장에 사실 통보 ⇒ ③ 20일간 소명자료 제출 등 의견진술 기회부여 ⇒ ④ 공표(제외)대상 사업장 재심의 ⇒ ⑤ 공표대상 사업장 최종확정 및 공표(매년 5.31.까지)
명단 공표 제외 사업장의 제외 사유입니다.
구 분 직장어린이집 설치 대상이 된 날부터 1년 이내인 경우 직장어린이집을
설치 중인 경우
상시근로자의 특성상 보육수요가 없는 경우
명단 공표가 필요하지 아니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109 53 36 20
(100.0) (48.6) (33.0) (18.3)
국가기관 3 1 2 0
(100.0) (33.3) (66.7) (0.0)
지자체 3 0 3 0
(100.0) (0.0) (100.0) (0.0)
학교 5 2 0 3
(100.0) (40.0) (0.0) (60.0)
대학병원 5 0 3 2
(100.0) (0.0) (60.0) (40.0)
기업 93 50 28 15
(100.0) (53.8) (30.1) (16.1)
 

이런식인데 조사는 왜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조사의 의도는 직장어린이집 설치의무가 있는 사업장에는 반드시 직장어린이집이 생겨, 일을 맘놓고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국민 생산력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는데, 그 목적은 사라지고, 공무원의 의무만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뭐 요즘은 독신장려금(?) 같은 것을 만들어서 욕얻어먹는 기업도 있으니, 참 갑갑합니다.

 

반응형
BI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