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공무원 보수 인상률 2.3~3.1% 확정

by 꼰대이공공 2023. 7. 25.
반응형

공무원 보수 인상률이 정해졌습니다.(7월)

5급 사무관이상 공무원은 2.3% 인상하고, 6급 주무관이하 공무원은 3.1%로 정해졌습니다.

 

누가 정했는가?

공무원보수민관심의위원회가 정했습니다. 공무원보수민관심의위원회 규정으로 정해놓고 있습니다.

 

내년 공무원 보수 인상률 2.3~3.1% 확정 < 노사관계 < 노동 < 기사본문 - 매일노동뉴스 (labortoday.co.kr)

 

내년 공무원 보수 인상률 2.3~3.1% 확정 - 매일노동뉴스

내년도 공무원 보수 수준을 논의하는 공무원 보수위원회가 네 차례 전체회의 끝에 막을 내렸다. 내년 공무원 보수를 2.3~3.1% 인상하기로 했다. 내년 최저임금 인상률 2.5%를 상회한다.25일 취재에

www.labortoday.co.kr

 

그럼 공공기관의 보수는 누가 정하는가?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서 공기업준정부기관 예산운용지침으로 정합니다.(12월)

그리고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서 저임금기관에 대해서 0.5%~1%까지 더준다고 합니다.

 

참 머리 아픕니다. 하후상박, 상박하후 뭐 이름은 비슷비슷하지만, 결국엔 급여가 적은 사람은 많이 올려주겠다는 취지입니다. 그러나 결국엔 총액으로 가면 공무원이든 공공기관종사자든간에 결국 많이 받는 사람은 많이 받고 적게 받는 사람은 적게 받아 격차가 벌어지게 됩니다.

특히 기관간 격차는 해소시킬지언정, 기관내 격차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직무급을 도입하라고 하지만, 직무가치에 대해서 분석해야합니다.

단순히 기관의 임금이 100이니 직무분석도 어려운직무부터 쉬운직무까지의 합을 100이라고 하지말아야 합니다.

정말 제대로 분석해야합니다.

그러고나면 직원들이 동의하지 않을까요? 단순 합으로 추진하니 직무급이 아니게 되는 것입니다.

 

물론 직무급의 단점에 대해서는 기술하지 않았습니다.

 

직무급은 첨부를 확인해주세요.

20230418_현장교육기획단_직무성과급제_PPT_2차.pdf
6.25MB

 

반응형
BI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