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공기관 혁신계획 최종안 확정

by 꼰대이공공 2022. 12. 26.
반응형

공공기관 혁신계획 최종안 확정

 

- 공공기관 혁신과제 중 기능조정 및 조직인력 효율화 계획 확정

- 09년 공공기관 선진화 이후 14년만의 공공기관 정원 감축

 

 

공공기관 정원 12,442(공공기관 전체 정원 44.9만명의 2.8%) 조정 계획

감축 17,230(3.9%) : 기능조정 7,231, 조직인력 효율화 4,867, 현원차 5,132
재배치 +4,788(+1.1%)

기관별 특성상황을 감안하여 차별화, 필수 안전인력을 반영하고,

초과현원 발생시 단계적으로 해소하여 신규채용 영향최소화

 

기관별 혁신계획에 대해 민관합동 공공기관 혁신T/F검토, 주무부처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마련하여 공운위 의결로 확정(12.26)

 

[그간의 경과]

 

정부는 공공기관의 효율화와 대국민 서비스의 질 제고를 위해 공공부문 생산성 제고, 자율책임경영 역량 강화, 민간-공공기관 협력강화공공기관 혁신 3대 과제를 추진하고 있음

재무위험기관 집중관리제(6.30), 새정부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7.29)
➋ 「공공기관 관리체계 개편방안(8.18),

➌ 「민간-공공기관 협력 강화방안(9.23)

새정부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7.29)에 따른 기관별 혁신계획을 통해 기능, 조직인력, 예산, 자산, 복리후생의 5대 분야 중점 효율화 추진중이고, 이 중 먼저 검토가 완료된 예산효율화* 복리후생 개선 계획**(10.17), 자산효율화 계획***(11.11)을 기 확정발표하였음

 

* ’22~’23년 경상경비 1.1조원 절감 및 삭감 / ** 사내대출 등 15개 항목 715건 개선

*** 비핵심 부동산 및 불요불급한 여타자산 등 총 14.5조원 매각·정비

 

각 주무부처 및 350개 공공기관은 혁신가이드라인에 따라 기관별 혁신계획안을 마련하여 제출 완료(9.8)하였으며, 정부는 민관합동 공공기관혁신T/F를 구성운영하여 기관별 기능조정 및 조직인력 효율화 계획안을 확인점검하고, 주무부처기관 협의조정을 거쳐 최종안마련하였음

 

ㅇ 금일 공운위에서 기능조정 조직인력 효율화 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5대 분야의 기관별 혁신계획모두 확정되었음

 

[기능조정 및 조직인력 효율화 계획]

 

금번 공공기관 기능조정 및 조직인력 효율화 계획에 따라 공공기관
정원12,442*(공공기관 전체 정원 44.9만명의 2.8%)을 조정하기로 하였음

 

* 연도별 정원조정 규모 : (‘23) 11,081, (’24) 738, (‘25) 623

 

이는 17,230(전체 정원대비 3.9%)감축하고, 4,788(1.1%)을 국정과제 수행, 안전 등 필수인력 소요에 재배치한 것임

 

09공공기관 선진화 계획* 이후 14년만공공기관 정원 감축한 것으로, 공공기관 정원은 2244.9만명2343.8만명으로 감소할 예정임

 

* 기관 통폐합, 기능조정, 경영효율화 등 추진하여 ’0826.2만명‘0924.3만명으로 감소

 

< ‘08~’23년 공공기관 정원 추이 및 전망 >

 

유형별로는 기능조정 7,231, 조직인력 효율화 4,867, 현원차 축소 5,132, 인력 재배치 +4,788명이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음

 

(기능조정) 민간지자체경합하거나 비핵심 업무, 수요감소 또는 사업종료 업무, 기관간 유사중복 기능 717을 정비하여 233 기관에서 7,231을 조정

 

(민간 경합) 민간부문의 성장으로 민간과 경합하는 기능을 축소
84개 기관, 167건 조정

 

󰋯(한국체육산업개발) 분당·일산 올림픽 스포츠센터 운영(‘94~)을 민간의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민간에 이관


󰋯(한국전기안전공사) 소규모 전기설비에 대한 전기안전관리대행업 기능을 조정하여 민간부문 정상화*


* 전기안전관리법, 안전관리업무 규제혁신(산업부)에 따라 3년에 걸쳐 민간에 전환 예정, 다만, 농어촌, 도서 등 격오지는 공익성 차원에서 유지

 

(지자체 경합) 지자체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해당 기능을 축소 20개 기관, 33건 조정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공사의 기능과 관련성 낮고 지자체 수행이 바람직한 사업
(도시재생, 도로개설, 마을 하수도 정비)은 지자체로부터 수탁을 지양



󰋯(한국문화재재단) 북악산 한양도성 탐방사업(’07년부터 탐방 안내소 6개 등 운영 중)
문화재관리단체인 서울시업무 이관 추진

 

(비핵심 업무) 고유 목적사업 외 영역확장 등 직접 수행이 불필요한 기능업무를 축소 109개 기관, 221건 조정

 

󰋯(한국조폐공사) 핵심기능(은행권, 여권용 보안용지 제조 등)과 무관한 장기근속 메달,
시상메달 등 기념메달 사업 폐지



󰋯(한국전력공사) 청경, 검침 등 현장인력을 운영했으나, 업무자동화 및 고품질 고객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전문 자회사에 관련 기능 이관

 

(수요감소·사업종료) 시장수요 감소, 정책방향 전환 등으로 필요성이 감소한 기능을 축소 121개 기관, 242건 조정

 

 

󰋯(한국도로공사서비스) 통행료 정산기 확대 설치 등 무인·자동화 시스템 도입에 따라 통행료 수납 기능을 축소


󰋯(대한석탄공사) 석탄 생산량 감소에 따라 작업 현장을 축소하고 관리 인원 등 축소

(유사·중복) 공공기관간 유사중복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기능조정 24개 기관, 54건 조정

 

󰋯(한국환경공단) 타 기관이 유사업무를 수행하는 탄소중립실천포인트제, 화학물질 등록지원, 재활용 전문인력 양성 등 사업은 전문성 등을 고려하여 환경산업기술원 등에 이관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부동산원과 중복 수행 중인 빈집 실태조사정보시스템 업무한국부동산원으로 일원화

 

(조직인력 효율화) 조직통합대부서화, 지방해외조직 효율화, 지원인력 조정, 업무 프로세스 개선 등을 통해 228기관에서 4,867 조정

 

(조직통합·대부서화) 구성원이 적은 단위조직은 대부서전환하고, 관리체계 광역화 등 추진 130개 기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업무 통합이 가능한 2개 부서(사회적가치추진실, 성과혁신실) 통합하고, 관련 인력을 효율화


󰋯(국방기술품질원) 타 부서 및 상위 부서와 업무·기능이 유사한 8개 팀통합(6254)하여 관련성 높은 연구들을 연계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지방·해외조직 효율화) 사업성과 및 서비스 수요가 부족한 지방 영업점, 해외지사 등 효율화 추진 40개 기관

 



󰋯(한국관광공사) 조직진단 결과를 반영하여 해외지사 3개소(튀르키예 이스탄불, 중국 시안·우한) 폐쇄 및 국내지사 2개소(부산·울산+경남, 경인+강원) 통합


󰋯(그랜드코리아레저) 중화권 시장 침체 장기화 사업수요 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마케팅팀을 축소하고, 일본 현지 연락사무소 2개소 축소(64개소)

 

(지원인력 조정 및 업무프로세스 개선) 기획·인사·홍보·경영평가 등 지원인력적정화하고, 디지털화, 업무 자동화 등 추진 167개 기관

 

󰋯(한국장학재단) 경영지원, 정보화관리 등 지원인력을 효율화하고, 업무 통합 등 추진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대한 가입 상담·지원 업무를 일부 비대면으로 전환함에 따라 이동시간 감소 등 효율성 제고

(상위직급 축소) 과도한 간부직 비율을 축소하고, 유사업무를 수행하는 상위직급을 통폐합 61개 기관

 

󰋯(기술보증기금) 유사 기관에 비해 과도한 임원수축소(87)


* 기술보증기금 : 임원 8, 임직원 1.6천명 / 신용보증기금 : 임원 7, 임직원 3천명


󰋯(한국콘텐츠진흥원) 임원 대우를 받는 별도직급(6)을 운영하고 있었으나, 채용기준·역할 등이 타 직급(G1)과 구별되지 않아 G1직급으로 조정

 

(현원차 축소) 육아휴직, 시간선택제 등 요인을 감안한 후에도
기관별로 상당기간 지속되고 있는 정현원차에 대해 157기관에서
5,132을 축소

 

* 한국도로공사서비스() 971, 한전MCS() 440, ()우체국시설관리단
417, 코레일로지스() 296, 한국마사회 190

 

(인력 재배치) 핵심 국정과제 수행, 필수시설 운영, 안전, 법령 제개정
등 필수소요 인력에 대해 223기관에서 4,788재배치

 

󰋯국정과제 : 한수원 신한울 3,4 건설, 건보심사평가원 혁신의료기술 등재관리 등 2,577


󰋯필수시설 운영 : 서부발전 김포열병합발전소 운영 등 1,056


󰋯안전 분야 : 철도공사 중대재해 예방 인력, 환경공단 도시침수 및 안전대응 등 646


󰋯법령 제개정 : 서민금융법 개정에 따른 햇살론 보험금융교육 수행 등 282

 

[주요 특징]

 

󰊱 (기관부처 협의) 금번 혁신계획은 기관이 자율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민관 합동 혁신T/F 검토, 주무부처기관협의를 거쳐 최종 합의안도출

 

ㅇ 각 주무부처는 소관기관 혁신T/F를 통해 기관별 혁신계획을 검토·
조정하여 기재부에 제출하였으며, 기재부는 공공기관 혁신T/F의 면밀한 검토를 거쳐, 혁신T/F안에 대해 각 부처기관과 적극적인 의견조회 협의를 실시하였음

󰊲 (기관별 특성 반영) 기능조직, 재무상황 등 기관별 특성상황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차별화된 검토를 실시

 

특히, 공공병원연구개발목적기관의 경우 기관의 특수성과 코로나 상황 등에 따라 기관 제출안최대한 반영하여, 부처 및 기관에서 요청한 코로나 한시정원 반납(공공병원), 장기결원을 감안한 정현원차 축소(연구개발목적기관) 중심으로 조정하였음

 

󰊳 (안전인력 강화) 안전인력 감축은 없고, 안전분야에 646추가 재배치

 

기관이 제출한 필수 안전인력(80)정원조정 대상에서 제외하고, 필수 안전 관련 재배치 요구는 모두 수용하여 646을 안전분야에 재배치*

 

* (전기안전공사) 사용전 점검 및 정기검사 업무(251), (철도공사) 관제기능 강화 등
중대재해 예방인력(78), (승강기안전공단) 승강기 안전검사 인력(43)

 

󰊴 (일반무기직간 균형) 정원조정 중 일반직 비중은 60%, 무기직40% 수준

 

무기직 정원조정의 대부분은 현원차 조정으로써, 현재 근무중인
인력에 대한 인위적구조조정없음

 

* 직군별 정원감축 규모 및 비율 : (일반직)7,448(59.9%), (무기직)4,994(40.1%)

 

󰊵 (신규채용 영향 최소화) 정원조정으로 초과되는 현원이 발생한 기관은 퇴직이직 등 자연감소 활용하고, 향후 2~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초과현원을 해소함으로써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없으며, 신규채용에 미치는 영향최소화할 계획임

 

[기대 효과]

 

금번 혁신계획에 따라 비핵심수요감소 업무 등 정비로 공공기관
역량 핵심업무 중심으로 재편하고, 생산성을 높임으로써 대국민 서비스 질 개선을 위한 토대 마련

 

아울러, 정원조정을 통해 연간 최대 7,600억원* 수준의 인건비절감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됨

 

* 실제 현원이 아닌 최대 정원기준 인건비 절감효과(정원조정수ב22년 평균보수)

[향후 일정]

 

각 공공기관은 혁신계획을 확정하고, 이에 따라 22년말~23년초에 23 예산안 직제규정 개정안 이사회 의결 등 후속조치를 추진할 예정임

 

정부는 내년부터 금번 기능조정 및 조직인력 효율화 계획을 포함한
기관별 혁신계획*이행실적분기별점검하여 공운위에 보고하고, 필요시 분야별 과제 추가 발굴 보완을 추진할 계획임

 

* 기능조정, 조직·인력 효율화, 예산 절감, 자산 효율화, 복리후생 개선

 

주무부처와 공공기관의 혁신계획 노력과 성과는 경영평가 정부업무평가에 반영하여 책임성을 확보해나가겠음

 

 

 

 

  기획재정부 책임자 과 장 정유리 (044-215-5530)
  공공제도기획과 담당자 사무관 안기용 (giyongahn@korea.kr)
  재무경영과 책임자 과 장 육현수 (044-215-5630)
  담당자 사무관 권기환 (kkhpark@korea.kr)
  평가분석과 책임자 과 장 김유정 (044-215-5550)
  담당자 사무관 이희한 (lihan423@korea.kr)
  인재경영과 책임자 과 장 이복원 (044-215-5570)
  담당자 사무관 이승민 (top9412@korea.kr)
  윤리경영과 책임자 과 장 김수영 (044-215-5620)
  담당자 서기관 이재석 (y889527@korea.kr)
  공공혁신과 책임자 과 장 오정윤 (044-215-5610)
  담당자 사무관 박준하 (joonha@korea.kr)
  경영관리과 책임자 과 장 김의영 (044-215-5650)
  담당자 사무관 김정수 (kjs0813@korea.kr)

 

참고 1   공기업 정원조정 계획안

(단위 : , %)

                 
  기관명 기존
정원
   
조정규모(조정율)
기능
조정

조직·인력
효율화

·현원차
조정

재배치
1 한국철도공사 32,508 722 (2.2%) 621 801 144 844
2 한국전력공사 23,728 496 (2.1%) 83 527 - 114
3 한국수력원자력() 12,821 37 (0.3%) 212 159 - 334
4 한국도로공사 9,166 188 (2.1%) 209 67 92 180
5 한국토지주택공사 8,991 220 (2.4%) 156 64 - -
6 한전KPS() 6,712 87 (1.3%) 30 26 61 30
7 한국수자원공사 6,584 221 (3.4%) 151 17 67 14
8 한국가스공사 4,320 102 (2.4%) 7 101 30 36
9 ()강원랜드 3,778 90 (2.4%) 15 8 79 12
10 한국마사회 3,175 373 (11.7%) 100 108 190 25
11 한전KDN 3,040 28 (0.9%) 7 - 21 -
12 한국남동발전() 2,929 87 (3.0%) 5 91 27 36
13 한국중부발전() 2,898 91 (3.1%) 5 79 37 30
14 한국서부발전() 2,842 77 (2.7%) 9 167 26 125
15 한국공항공사 2,762 59 (2.1%) 3 46 15 5
16 한국남부발전() 2,738 68 (2.5%) 8 82 - 22
17 한국동서발전() 2,585 80 (3.1%) 5 68 30 23
18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2,417 85 (3.5%) 41 33 15 4
19 ()한국가스기술공사 2,265 23 (1.0%) 11 8 14 10
20 한국지역난방공사 2,186 80 (3.7%) 48 71 - 39
21 인천국제공항공사 1,967 37 (1.9%) 17 15 8 3
22 그랜드코리아레저() 1,827 55 (3.0%) - 41 14 -
23 한국조폐공사 1,517 118 (7.8%) 67 51 - -
24 한국석유공사 1,454 47 (3.2%) 68 31 13 65
25 한국부동산원 1,181 26 (2.2%) 7 1 18 -
26 주택도시보증공사 1,063 23 (2.2%) 23 - - -
27 한국광해광업공단 808 23 (2.8%) 49 - - 26
28 해양환경공단 747 34 (4.6%) 10 10 19 5
29 주식회사 에스알 686 27 (3.9%) 10 27 - 10
30 대한석탄공사 655 139 (21.2%) 139 - - -
31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385 32 (8.3%) 36 12 3 19
32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317 15 (4.7%) 13 6 - 4
33 인천항만공사 289 15 (5.0%) 3 2 12 2
34 부산항만공사 284 15 (5.3%) 7 5 5 2
35 여수광양항만공사 177 9 (5.1%) 3 7 1 2
36 울산항만공사 129 6 (4.7%) 3 4 - 1
참고 2   준정부기관 정원조정 계획안

(단위 : , %)

 

                 
  기관명 기존
정원
   
조정규모 (조정율)
기능
조정

조직·인력
효율화

·현원차
조정

재배치
1 국민건강보험공단 19,114 343 (1.8%) 174 96 86 13
2 근로복지공단 10,244 200 (2.0%) 119 20 61 -
3 국민연금공단 7,596 152 (2.0%) 112 122 21 103
4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7,570 189 (2.5%) 167 39 17 34
5 한국농어촌공사 6,748 239 (3.5%) 169 70 - -
6 한국국토정보공사 4,704 154 (3.3%) 127 - 44 17
7 건강보험심사평가원 4,032 89 (2.2%) 73 12 58 54
8 한국환경공단 3,316 144 (4.3%) 51 12 100 19
9 한국전기안전공사 3,237 158 (4.9%) 398 53 - 293
10 도로교통공단 3,112 97 (3.1%) 23 35 49 10
11 신용보증기금 2,948 64 (2.2%) 10 10 64 20
12 국립공원공단 2,674 135 (5.0%) 80 20 36 1
1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250 28 (1.2%) 67 24 31 94
14 국가철도공단 2,224 40 (1.8%) 36 16 8 20
15 한국산업인력공단 1,911 39 (2.0%) - 64 30 55
16 한국교통안전공단 1,898 55 (2.9%) 48 7 - -
17 한국자산관리공사 1,846 21 (1.1%) 19 33 - 31
18 한국가스안전공사 1,758 49 (2.8%) 43 17 24 35
19 한국승강기안전공단 1,663 9 (0.5%) 27 16 9 43
20 국민체육진흥공단 1,646 172 (10.4%) 91 19 65 3
21 기술보증기금 1,589 33 (2.1%) 26 13 - 6
22 ()우체국물류지원단 1,564 87 (5.6%) 4 3 82 2
23 한국장애인고용공단 1,494 48 (3.2%) 83 5 - 40
24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1,476 53 (3.6%) 18 3 45 13
25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1,295 35 (2.7%) 27 80 25 97
26 국토안전관리원 1,046 11 (1.1%) 31 1 - 21
27 한국주택금융공사 1,021 24 (2.4%) 8 6 14 4
28 한국연구재단 988 20 (2.0%) 5 2 18 5
29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923 34 (3.7%) 8 50 - 24
30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921 23 (2.5%) 17 21 5 20
31 예금보험공사 868 34 (3.9%) 51 8 4 29
32 ()우체국금융개발원 868 21 (2.4%) 20 22 - 21
33 한국무역보험공사 804 10 (1.2%) - 16 6 12
34 한국인터넷진흥원 790 18 (2.3%) 11 21 8 22
35 한국관광공사 773 16 (2.1%) 8 14 - 6
36 한국에너지공단 756 15 (2.0%) 6 14 - 5
37 한국사회보장정보원 740 13 (1.8%) 15 - 2 4
38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721 12 (1.7%) 11 7 4 10
39 한국환경산업기술원 690 26 (3.8%) 4 15 24 17
40 공무원연금공단 687 17 (2.5%) 5 10 9 7
41 국립생태원 650 27 (4.2%) 6 16 13 8
42 한국산업단지공단 650 20 (3.1%) 16 3 11 10
43 한국국제협력단 604 13 (2.2%) 9 6 10 12
44 한국전력거래소 561 22 (3.9%) 2 6 14 -
45 한국소비자원 561 19 (3.4%) 11 18 - 10
46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557 17 (3.1%) 8 13 6 10
47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550 10 (1.8%) 5 10 3 8
48 한국장학재단 541 26 (4.8%) 20 12 19 25
49 한국콘텐츠진흥원 533 14 (2.6%) 4 5 10 5
50 ()한국우편사업진흥원 531 27 (5.1%) 1 23 3 -
51 정보통신산업진흥원 513 10 (1.9%) 6 14 4 14
52 한국고용정보원 510 20 (3.9%) 20 6 - 6
53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484 32 (6.6%) 32 17 - 17
54 한국산림복지진흥원 477 24 (5.0%) 25 25 - 26
55 축산물품질평가원 476 19 (4.0%) - 18 4 3
56 한국석유관리원 462 14 (3.0%) 6 8 - -
57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442 13 (2.8%) - 11 7 5
58 한국보건산업진흥원 423 - - 2 - - 2
59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416 23 (5.5%) 16 22 - 15
60 한국원자력환경공단 413 5 (1.2%) - 6 - 1
61 한국산업기술진흥원 410 10 (2.4%) 4 3 6 3
62 한국보육진흥원 371 4 (1.1%) - - 4 -
63 한국수산자원공단 361 17 (4.7%) 3 13 2 1
6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53 13 (3.7%) 2 5 12 6
65 한국농업기술진흥원 343 19 (5.5%) 15 7 13 16
66 한국소방산업기술원 329 13 (4.0%) 6 7 - -
67 서민금융진흥원 328 7 (2.1%) 9 10 6 18
68 한국재정정보원 326 28 (8.6%) 13 15 - -
69 한국해양수산연수원 304 12 (3.9%) 6 12 - 6
70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97 5 (1.7%) 3 7 2 7
71 한국보건복지인재원 279 5 (1.8%) 4 - 5 4
72 한국임업진흥원 274 9 (3.3%) 14 9 - 14
73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269 9 (3.3%) 3 9 - 3
74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268 10 (3.7%) 7 2 3 2
75 시청자미디어재단 267 7 (2.6%) 4 7 - 4
76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55 6 (2.4%) - 6 - -
77 한국특허전략개발원 249 8 (3.2%) 8 2 1 3
78 창업진흥원 245 12 (4.9%) 7 17 - 12
79 국제방송교류재단 229 3 (1.3%) 1 7 - 5
80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224 4 (1.8%) 13 - - 9
81 한국언론진흥재단 219 6 (2.7%) 3 6 - 3
82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191 1 (0.5%) - 2 - 1
83 한국건강가정진흥원 187 7 (3.7%) - 7 - -
84 한국디자인진흥원 187 6 (3.2%) 6 1 6 7
85 한국과학창의재단 184 4 (2.2%) - 4 - -
86 한국노인인력개발원 183 3 (1.6%) 7 - - 4
87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180 8 (4.4%) 9 6 2 9
88 한국기상산업기술원 175 12 (6.9%) 2 16 - 6
89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175 5 (2.9%) 2 5 2 4
90 한국건강증진개발원 165 1 (0.6%) - 4 - 3
91 독립기념관 157 7 (4.5%) 8 1 - 2
92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155 3 (1.9%) 5 - - 2
93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101 5 (5.0%) 3 2 1 1
94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100 3 (3.0%) 1 1 1 -
참고 3   기타공공기관 정원조정 계획안(300인 이상, 병원출연연 제외)

 

(단위 : , %)

                 
  기관명 기존
정원
   
조정규모 (조정율)
기능
조정

조직·인력
효율화

·현원차
조정

재배치
1 중소기업은행 13,965 390 (2.8%) 36 186 168 -
2 한국도로공사서비스 6,317 1,041 (16.5%) 421 - 971 351
3 코레일테크() 5,395 127 (2.4%) 42 1 85 1
4 한전MCS() 4,973 612 (12.3%) 143 29 440 -
5 한국산업은행 3,406 - - - - - -
6 주택관리공단() 2,777 72 (2.6%) 175 - - 103
7 학교법인한국폴리텍 2,756 27 (1.0%) 20 - 7 -
8 ()우체국시설관리단 2,709 445 (16.4%) 28 1 417 1
9 코레일네트웍스() 1,916 236 (12.3%) 170 12 58 4
10 한국체육산업개발() 1,468 288 (19.6%) 271 2 15 -
11 코레일관광개발() 1,403 101 (7.2%) 14 7 80 -
12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1,276 8 (0.6%) 37 - 8 37
13 한국수출입은행 1,249 27 (2.2%) 22 5 - -
14 한전원자력연료() 1,184 14 (1.2%) - 7 10 3
15 대한법률구조공단 892 23 (2.6%) - 3 23 3
16 코레일로지스() 839 296 (35.3%) - - 296 -
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646 7 (1.1%) 1 5 4 3
18 코레일유통() 507 30 (5.9%) 30 - - -
19 한국특허정보원 429 6 (1.4%) 13 - - 7
20 ()공영홈쇼핑 400 18 (4.5%) - 1 17 -
21 한국문화재재단 397 9 (2.3%) 8 2 - 1
22 한국장애인개발원 397 10 (2.4%) - 6 10 6
23 예술의전당 393 10 (2.5%) - - 10 -
24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391 8 (2.0%) - 16 - 8
25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361 16 (4.4%) 5 12 12 13
26 한국투자공사 327 10 (3.1%) - 10 - -
27 노사발전재단 304 4 (1.3%) - 1 8 5
공공기관 혁신계획 최종안 확정
- 공공기관 혁신과제 중 기능조정 및 조직인력 효율화 계획 확정 -
09년 공공기관 선진화 이후 14년만의 공공기관 정원 감축 -

 



공공기관 정원 12,442(공공기관 전체 정원 44.9만명의 2.8%) 조정 계획


* 감축 17,230(3.9%) : 기능조정 7,231, 조직인력 효율화 4,867, 현원차 5,132
재배치 +4,788(+1.1%)



기관별 특성상황을 감안하여 차별화, 필수 안전인력을 반영하고, 초과현원 발생시 단계적으로 해소하여 신규채용 영향최소화


기관별 혁신계획에 대해 민관합동 공공기관 혁신T/F검토, 주무부처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마련하여 공운위 의결로 확정(12.26)

 

기획재정부는 22.12.26.() 최상대 제2차관 주재로 열린 18차 공공
기관운영위원회에서공공기관 혁신계획 중 기능조정 및 조직인력
효율화 계획을 상정·의결하였음

 

[그간의 경과]

 

정부는 공공기관의 효율화와 대국민 서비스의 질 제고를 위해 공공부문
생산성 제고, 자율책임경영 역량 강화, 민간-공공기관 협력강화
공공기관 혁신 3대 과제를 추진하고 있음

 

* 재무위험기관 집중관리제(6.30), 새정부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7.29)
➋ 「공공기관 관리체계 개편방안(8.18), ➌ 「민간-공공기관 협력 강화방안(9.23)

새정부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7.29)에 따른 기관별 혁신계획을 통해 기능, 조직인력, 예산, 자산, 복리후생의 5대 분야 중점 효율화 추진중이고, 이 중 먼저 검토가 완료된 예산효율화* 복리후생 개선 계획**(10.17), 자산효율화 계획***(11.11)을 기 확정발표하였음

 

* ’22~’23년 경상경비 1.1조원 절감 및 삭감 / ** 사내대출 등 15개 항목 715건 개선

*** 비핵심 부동산 및 불요불급한 여타자산 등 총 14.5조원 매각·정비

 

각 주무부처 및 350개 공공기관은 혁신가이드라인에 따라 기관별 혁신계획안을 마련하여 제출 완료(9.8)하였으며, 정부는 민관합동 공공기관
혁신T/F를 구성운영하여 기관별 기능조정 및 조직인력 효율화 계획안을 확인점검하고, 주무부처기관 협의조정을 거쳐 최종안마련하였음

 

ㅇ 금일 공운위에서 기능조정 조직인력 효율화 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5대 분야의 기관별 혁신계획모두 확정되었음

 

[기능조정 및 조직인력 효율화 계획]

 

금번 공공기관 기능조정 및 조직인력 효율화 계획에 따라 공공기관
정원12,442*(공공기관 전체 정원 44.9만명의 2.8%)을 조정하기로 하였음

 

* 연도별 정원조정 규모 : (‘23) 11,081, (’24) 738, (‘25) 623

 

이는 17,230(전체 정원대비 3.9%)감축하고, 4,788(1.1%)을 국정과제 수행, 안전 등 필수인력 소요에 재배치한 것임

 

09공공기관 선진화 계획* 이후 14년만공공기관 정원 감축한 것으로, 공공기관 정원은 2244.9만명2343.8만명으로 감소할 예정임

 

* 기관 통폐합, 기능조정, 경영효율화 등 추진하여 ’0826.2만명‘0924.3만명으로 감소

 

< ‘08~’23년 공공기관 정원 추이 및 전망 >

 

유형별로는 기능조정 7,231, 조직인력 효율화 4,867, 현원차 축소 5,132, 인력 재배치 +4,788명이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음

 

(기능조정) 민간지자체경합하거나 비핵심 업무, 수요감소 또는
사업종료 업무, 기관간 유사중복 기능 717을 정비하여 233 기관에서 7,231을 조정

 

(민간 경합) 민간부문의 성장으로 민간과 경합하는 기능을 축소
84개 기관, 167건 조정

 

󰋯(한국체육산업개발) 분당·일산 올림픽 스포츠센터 운영(‘94~)을 민간의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민간에 이관


󰋯(한국전기안전공사) 소규모 전기설비에 대한 전기안전관리대행업 기능을 조정하여 민간부문 정상화*


* 전기안전관리법, 안전관리업무 규제혁신(산업부)에 따라 3년에 걸쳐 민간에 전환 예정, 다만, 농어촌, 도서 등 격오지는 공익성 차원에서 유지

 

(지자체 경합) 지자체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해당 기능을 축소 20개 기관, 33건 조정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공사의 기능과 관련성 낮고 지자체 수행이 바람직한 사업
(도시재생, 도로개설, 마을 하수도 정비)은 지자체로부터 수탁을 지양



󰋯(한국문화재재단) 북악산 한양도성 탐방사업(’07년부터 탐방 안내소 6개 등 운영 중)
문화재관리단체인 서울시업무 이관 추진

 

(비핵심 업무) 고유 목적사업 외 영역확장 등 직접 수행이 불필요한 기능업무를 축소 109개 기관, 221건 조정

 

󰋯(한국조폐공사) 핵심기능(은행권, 여권용 보안용지 제조 등)과 무관한 장기근속 메달,
시상메달 등 기념메달 사업 폐지



󰋯(한국전력공사) 청경, 검침 등 현장인력을 운영했으나, 업무자동화 및 고품질 고객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전문 자회사에 관련 기능 이관

 

(수요감소·사업종료) 시장수요 감소, 정책방향 전환 등으로 필요성이 감소한 기능을 축소 121개 기관, 242건 조정

 

 

󰋯(한국도로공사서비스) 통행료 정산기 확대 설치 등 무인·자동화 시스템 도입에 따라 통행료 수납 기능을 축소


󰋯(대한석탄공사) 석탄 생산량 감소에 따라 작업 현장을 축소하고 관리 인원 등 축소

(유사·중복) 공공기관간 유사중복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기능조정 24개 기관, 54건 조정

 

󰋯(한국환경공단) 타 기관이 유사업무를 수행하는 탄소중립실천포인트제, 화학물질 등록지원, 재활용 전문인력 양성 등 사업은 전문성 등을 고려하여 환경산업기술원 등에 이관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부동산원과 중복 수행 중인 빈집 실태조사정보시스템 업무한국부동산원으로 일원화

 

(조직인력 효율화) 조직통합대부서화, 지방해외조직 효율화, 지원인력 조정, 업무 프로세스 개선 등을 통해 228기관에서 4,867 조정

 

(조직통합·대부서화) 구성원이 적은 단위조직은 대부서전환하고, 관리체계 광역화 등 추진 130개 기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업무 통합이 가능한 2개 부서(사회적가치추진실, 성과혁신실) 통합하고, 관련 인력을 효율화


󰋯(국방기술품질원) 타 부서 및 상위 부서와 업무·기능이 유사한 8개 팀통합(6254)하여 관련성 높은 연구들을 연계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지방·해외조직 효율화) 사업성과 및 서비스 수요가 부족한 지방 영업점, 해외지사 등 효율화 추진 40개 기관

 



󰋯(한국관광공사) 조직진단 결과를 반영하여 해외지사 3개소(튀르키예 이스탄불, 중국 시안·우한) 폐쇄 및 국내지사 2개소(부산·울산+경남, 경인+강원) 통합


󰋯(그랜드코리아레저) 중화권 시장 침체 장기화 사업수요 변화를 고려하여 중국
마케팅팀을 축소하고, 일본 현지 연락사무소 2개소 축소(64개소)

 

(지원인력 조정 및 업무프로세스 개선) 기획·인사·홍보·경영평가 등 지원인력적정화하고, 디지털화, 업무 자동화 등 추진 167개 기관

 

󰋯(한국장학재단) 경영지원, 정보화관리 등 지원인력을 효율화하고, 업무 통합 등 추진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미가입 사업장에 대한 가입 상담·지원 업무를 일부 비대면으로 전환함에 따라 이동시간 감소 등 효율성 제고

(상위직급 축소) 과도한 간부직 비율을 축소하고, 유사업무를 수행하는 상위직급을 통폐합 61개 기관

 

󰋯(기술보증기금) 유사 기관에 비해 과도한 임원수축소(87)


* 기술보증기금 : 임원 8, 임직원 1.6천명 / 신용보증기금 : 임원 7, 임직원 3천명


󰋯(한국콘텐츠진흥원) 임원 대우를 받는 별도직급(6)을 운영하고 있었으나, 채용기준·역할 등이 타 직급(G1)과 구별되지 않아 G1직급으로 조정

 

(현원차 축소) 육아휴직, 시간선택제 등 요인을 감안한 후에도
기관별로 상당기간 지속되고 있는 정현원차에 대해 157기관에서
5,132을 축소

 

* 한국도로공사서비스() 971, 한전MCS() 440, ()우체국시설관리단
417, 코레일로지스() 296, 한국마사회 190

 

(인력 재배치) 핵심 국정과제 수행, 필수시설 운영, 안전, 법령 제개정
등 필수소요 인력에 대해 223기관에서 4,788재배치

 

󰋯국정과제 : 한수원 신한울 3,4 건설, 건보심사평가원 혁신의료기술 등재관리 등 2,577


󰋯필수시설 운영 : 서부발전 김포열병합발전소 운영 등 1,056


󰋯안전 분야 : 철도공사 중대재해 예방 인력, 환경공단 도시침수 및 안전대응 등 646


󰋯법령 제개정 : 서민금융법 개정에 따른 햇살론 보험금융교육 수행 등 282

 

[주요 특징]

 

󰊱 (기관부처 협의) 금번 혁신계획은 기관이 자율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민관 합동 혁신T/F 검토, 주무부처기관협의를 거쳐 최종 합의안도출

 

ㅇ 각 주무부처는 소관기관 혁신T/F를 통해 기관별 혁신계획을 검토·
조정하여 기재부에 제출하였으며, 기재부는 공공기관 혁신T/F의 면밀한 검토를 거쳐, 혁신T/F안에 대해 각 부처기관과 적극적인 의견조회 협의를 실시하였음

󰊲 (기관별 특성 반영) 기능조직, 재무상황 등 기관별 특성상황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차별화된 검토를 실시

 

특히, 공공병원연구개발목적기관의 경우 기관의 특수성과 코로나 상황 등에 따라 기관 제출안최대한 반영하여, 부처 및 기관에서 요청한 코로나 한시정원 반납(공공병원), 장기결원을 감안한 정현원차 축소(연구개발목적기관) 중심으로 조정하였음

 

󰊳 (안전인력 강화) 안전인력 감축은 없고, 안전분야에 646추가 재배치

 

기관이 제출한 필수 안전인력(80)정원조정 대상에서 제외하고, 필수 안전 관련 재배치 요구는 모두 수용하여 646을 안전분야에 재배치*

 

* (전기안전공사) 사용전 점검 및 정기검사 업무(251), (철도공사) 관제기능 강화 등
중대재해 예방인력(78), (승강기안전공단) 승강기 안전검사 인력(43)

 

󰊴 (일반무기직간 균형) 정원조정 중 일반직 비중은 60%, 무기직40% 수준

 

무기직 정원조정의 대부분은 현원차 조정으로써, 현재 근무중인
인력에 대한 인위적구조조정없음

 

* 직군별 정원감축 규모 및 비율 : (일반직)7,448(59.9%), (무기직)4,994(40.1%)

 

󰊵 (신규채용 영향 최소화) 정원조정으로 초과되는 현원이 발생한 기관은 퇴직이직 등 자연감소 활용하고, 향후 2~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초과현원을 해소함으로써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없으며, 신규채용에 미치는 영향최소화할 계획임

 

[기대 효과]

 

금번 혁신계획에 따라 비핵심수요감소 업무 등 정비로 공공기관
역량 핵심업무 중심으로 재편하고, 생산성을 높임으로써 대국민 서비스 질 개선을 위한 토대 마련

 

아울러, 정원조정을 통해 연간 최대 7,600억원* 수준의 인건비절감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됨

 

* 실제 현원이 아닌 최대 정원기준 인건비 절감효과(정원조정수ב22년 평균보수)

[향후 일정]

 

각 공공기관은 혁신계획을 확정하고, 이에 따라 22년말~23년초에 23 예산안 직제규정 개정안 이사회 의결 등 후속조치를 추진할 예정임

 

정부는 내년부터 금번 기능조정 및 조직인력 효율화 계획을 포함한
기관별 혁신계획*이행실적분기별점검하여 공운위에 보고하고, 필요시 분야별 과제 추가 발굴 보완을 추진할 계획임

 

* 기능조정, 조직·인력 효율화, 예산 절감, 자산 효율화, 복리후생 개선

 

주무부처와 공공기관의 혁신계획 노력과 성과는 경영평가 정부업무평가에 반영하여 책임성을 확보해나가겠음

 

 

 

 

  기획재정부 책임자 과 장 정유리 (044-215-5530)
  공공제도기획과 담당자 사무관 안기용 (giyongahn@korea.kr)
  재무경영과 책임자 과 장 육현수 (044-215-5630)
  담당자 사무관 권기환 (kkhpark@korea.kr)
  평가분석과 책임자 과 장 김유정 (044-215-5550)
  담당자 사무관 이희한 (lihan423@korea.kr)
  인재경영과 책임자 과 장 이복원 (044-215-5570)
  담당자 사무관 이승민 (top9412@korea.kr)
  윤리경영과 책임자 과 장 김수영 (044-215-5620)
  담당자 서기관 이재석 (y889527@korea.kr)
  공공혁신과 책임자 과 장 오정윤 (044-215-5610)
  담당자 사무관 박준하 (joonha@korea.kr)
  경영관리과 책임자 과 장 김의영 (044-215-5650)
  담당자 사무관 김정수 (kjs0813@korea.kr)

 

참고 1   공기업 정원조정 계획안

(단위 : , %)

                 
  기관명 기존
정원
   
조정규모(조정율)
기능
조정

조직·인력
효율화

·현원차
조정

재배치
1 한국철도공사 32,508 722 (2.2%) 621 801 144 844
2 한국전력공사 23,728 496 (2.1%) 83 527 - 114
3 한국수력원자력() 12,821 37 (0.3%) 212 159 - 334
4 한국도로공사 9,166 188 (2.1%) 209 67 92 180
5 한국토지주택공사 8,991 220 (2.4%) 156 64 - -
6 한전KPS() 6,712 87 (1.3%) 30 26 61 30
7 한국수자원공사 6,584 221 (3.4%) 151 17 67 14
8 한국가스공사 4,320 102 (2.4%) 7 101 30 36
9 ()강원랜드 3,778 90 (2.4%) 15 8 79 12
10 한국마사회 3,175 373 (11.7%) 100 108 190 25
11 한전KDN 3,040 28 (0.9%) 7 - 21 -
12 한국남동발전() 2,929 87 (3.0%) 5 91 27 36
13 한국중부발전() 2,898 91 (3.1%) 5 79 37 30
14 한국서부발전() 2,842 77 (2.7%) 9 167 26 125
15 한국공항공사 2,762 59 (2.1%) 3 46 15 5
16 한국남부발전() 2,738 68 (2.5%) 8 82 - 22
17 한국동서발전() 2,585 80 (3.1%) 5 68 30 23
18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2,417 85 (3.5%) 41 33 15 4
19 ()한국가스기술공사 2,265 23 (1.0%) 11 8 14 10
20 한국지역난방공사 2,186 80 (3.7%) 48 71 - 39
21 인천국제공항공사 1,967 37 (1.9%) 17 15 8 3
22 그랜드코리아레저() 1,827 55 (3.0%) - 41 14 -
23 한국조폐공사 1,517 118 (7.8%) 67 51 - -
24 한국석유공사 1,454 47 (3.2%) 68 31 13 65
25 한국부동산원 1,181 26 (2.2%) 7 1 18 -
26 주택도시보증공사 1,063 23 (2.2%) 23 - - -
27 한국광해광업공단 808 23 (2.8%) 49 - - 26
28 해양환경공단 747 34 (4.6%) 10 10 19 5
29 주식회사 에스알 686 27 (3.9%) 10 27 - 10
30 대한석탄공사 655 139 (21.2%) 139 - - -
31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385 32 (8.3%) 36 12 3 19
32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317 15 (4.7%) 13 6 - 4
33 인천항만공사 289 15 (5.0%) 3 2 12 2
34 부산항만공사 284 15 (5.3%) 7 5 5 2
35 여수광양항만공사 177 9 (5.1%) 3 7 1 2
36 울산항만공사 129 6 (4.7%) 3 4 - 1
참고 2   준정부기관 정원조정 계획안

(단위 : , %)

 

                 
  기관명 기존
정원
   
조정규모 (조정율)
기능
조정

조직·인력
효율화

·현원차
조정

재배치
1 국민건강보험공단 19,114 343 (1.8%) 174 96 86 13
2 근로복지공단 10,244 200 (2.0%) 119 20 61 -
3 국민연금공단 7,596 152 (2.0%) 112 122 21 103
4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7,570 189 (2.5%) 167 39 17 34
5 한국농어촌공사 6,748 239 (3.5%) 169 70 - -
6 한국국토정보공사 4,704 154 (3.3%) 127 - 44 17
7 건강보험심사평가원 4,032 89 (2.2%) 73 12 58 54
8 한국환경공단 3,316 144 (4.3%) 51 12 100 19
9 한국전기안전공사 3,237 158 (4.9%) 398 53 - 293
10 도로교통공단 3,112 97 (3.1%) 23 35 49 10
11 신용보증기금 2,948 64 (2.2%) 10 10 64 20
12 국립공원공단 2,674 135 (5.0%) 80 20 36 1
1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250 28 (1.2%) 67 24 31 94
14 국가철도공단 2,224 40 (1.8%) 36 16 8 20
15 한국산업인력공단 1,911 39 (2.0%) - 64 30 55
16 한국교통안전공단 1,898 55 (2.9%) 48 7 - -
17 한국자산관리공사 1,846 21 (1.1%) 19 33 - 31
18 한국가스안전공사 1,758 49 (2.8%) 43 17 24 35
19 한국승강기안전공단 1,663 9 (0.5%) 27 16 9 43
20 국민체육진흥공단 1,646 172 (10.4%) 91 19 65 3
21 기술보증기금 1,589 33 (2.1%) 26 13 - 6
22 ()우체국물류지원단 1,564 87 (5.6%) 4 3 82 2
23 한국장애인고용공단 1,494 48 (3.2%) 83 5 - 40
24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1,476 53 (3.6%) 18 3 45 13
25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1,295 35 (2.7%) 27 80 25 97
26 국토안전관리원 1,046 11 (1.1%) 31 1 - 21
27 한국주택금융공사 1,021 24 (2.4%) 8 6 14 4
28 한국연구재단 988 20 (2.0%) 5 2 18 5
29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923 34 (3.7%) 8 50 - 24
30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921 23 (2.5%) 17 21 5 20
31 예금보험공사 868 34 (3.9%) 51 8 4 29
32 ()우체국금융개발원 868 21 (2.4%) 20 22 - 21
33 한국무역보험공사 804 10 (1.2%) - 16 6 12
34 한국인터넷진흥원 790 18 (2.3%) 11 21 8 22
35 한국관광공사 773 16 (2.1%) 8 14 - 6
36 한국에너지공단 756 15 (2.0%) 6 14 - 5
37 한국사회보장정보원 740 13 (1.8%) 15 - 2 4
38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721 12 (1.7%) 11 7 4 10
39 한국환경산업기술원 690 26 (3.8%) 4 15 24 17
40 공무원연금공단 687 17 (2.5%) 5 10 9 7
41 국립생태원 650 27 (4.2%) 6 16 13 8
42 한국산업단지공단 650 20 (3.1%) 16 3 11 10
43 한국국제협력단 604 13 (2.2%) 9 6 10 12
44 한국전력거래소 561 22 (3.9%) 2 6 14 -
45 한국소비자원 561 19 (3.4%) 11 18 - 10
46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557 17 (3.1%) 8 13 6 10
47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550 10 (1.8%) 5 10 3 8
48 한국장학재단 541 26 (4.8%) 20 12 19 25
49 한국콘텐츠진흥원 533 14 (2.6%) 4 5 10 5
50 ()한국우편사업진흥원 531 27 (5.1%) 1 23 3 -
51 정보통신산업진흥원 513 10 (1.9%) 6 14 4 14
52 한국고용정보원 510 20 (3.9%) 20 6 - 6
53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484 32 (6.6%) 32 17 - 17
54 한국산림복지진흥원 477 24 (5.0%) 25 25 - 26
55 축산물품질평가원 476 19 (4.0%) - 18 4 3
56 한국석유관리원 462 14 (3.0%) 6 8 - -
57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442 13 (2.8%) - 11 7 5
58 한국보건산업진흥원 423 - - 2 - - 2
59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416 23 (5.5%) 16 22 - 15
60 한국원자력환경공단 413 5 (1.2%) - 6 - 1
61 한국산업기술진흥원 410 10 (2.4%) 4 3 6 3
62 한국보육진흥원 371 4 (1.1%) - - 4 -
63 한국수산자원공단 361 17 (4.7%) 3 13 2 1
6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53 13 (3.7%) 2 5 12 6
65 한국농업기술진흥원 343 19 (5.5%) 15 7 13 16
66 한국소방산업기술원 329 13 (4.0%) 6 7 - -
67 서민금융진흥원 328 7 (2.1%) 9 10 6 18
68 한국재정정보원 326 28 (8.6%) 13 15 - -
69 한국해양수산연수원 304 12 (3.9%) 6 12 - 6
70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97 5 (1.7%) 3 7 2 7
71 한국보건복지인재원 279 5 (1.8%) 4 - 5 4
72 한국임업진흥원 274 9 (3.3%) 14 9 - 14
73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269 9 (3.3%) 3 9 - 3
74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268 10 (3.7%) 7 2 3 2
75 시청자미디어재단 267 7 (2.6%) 4 7 - 4
76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55 6 (2.4%) - 6 - -
77 한국특허전략개발원 249 8 (3.2%) 8 2 1 3
78 창업진흥원 245 12 (4.9%) 7 17 - 12
79 국제방송교류재단 229 3 (1.3%) 1 7 - 5
80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224 4 (1.8%) 13 - - 9
81 한국언론진흥재단 219 6 (2.7%) 3 6 - 3
82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191 1 (0.5%) - 2 - 1
83 한국건강가정진흥원 187 7 (3.7%) - 7 - -
84 한국디자인진흥원 187 6 (3.2%) 6 1 6 7
85 한국과학창의재단 184 4 (2.2%) - 4 - -
86 한국노인인력개발원 183 3 (1.6%) 7 - - 4
87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180 8 (4.4%) 9 6 2 9
88 한국기상산업기술원 175 12 (6.9%) 2 16 - 6
89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175 5 (2.9%) 2 5 2 4
90 한국건강증진개발원 165 1 (0.6%) - 4 - 3
91 독립기념관 157 7 (4.5%) 8 1 - 2
92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155 3 (1.9%) 5 - - 2
93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101 5 (5.0%) 3 2 1 1
94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100 3 (3.0%) 1 1 1 -
참고 3   기타공공기관 정원조정 계획안(300인 이상, 병원출연연 제외)

 

(단위 : , %)

                 
  기관명 기존
정원
   
조정규모 (조정율)
기능
조정

조직·인력
효율화

·현원차
조정

재배치
1 중소기업은행 13,965 390 (2.8%) 36 186 168 -
2 한국도로공사서비스 6,317 1,041 (16.5%) 421 - 971 351
3 코레일테크() 5,395 127 (2.4%) 42 1 85 1
4 한전MCS() 4,973 612 (12.3%) 143 29 440 -
5 한국산업은행 3,406 - - - - - -
6 주택관리공단() 2,777 72 (2.6%) 175 - - 103
7 학교법인한국폴리텍 2,756 27 (1.0%) 20 - 7 -
8 ()우체국시설관리단 2,709 445 (16.4%) 28 1 417 1
9 코레일네트웍스() 1,916 236 (12.3%) 170 12 58 4
10 한국체육산업개발() 1,468 288 (19.6%) 271 2 15 -
11 코레일관광개발() 1,403 101 (7.2%) 14 7 80 -
12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1,276 8 (0.6%) 37 - 8 37
13 한국수출입은행 1,249 27 (2.2%) 22 5 - -
14 한전원자력연료() 1,184 14 (1.2%) - 7 10 3
15 대한법률구조공단 892 23 (2.6%) - 3 23 3
16 코레일로지스() 839 296 (35.3%) - - 296 -
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646 7 (1.1%) 1 5 4 3
18 코레일유통() 507 30 (5.9%) 30 - - -
19 한국특허정보원 429 6 (1.4%) 13 - - 7
20 ()공영홈쇼핑 400 18 (4.5%) - 1 17 -
21 한국문화재재단 397 9 (2.3%) 8 2 - 1
22 한국장애인개발원 397 10 (2.4%) - 6 10 6
23 예술의전당 393 10 (2.5%) - - 10 -
24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391 8 (2.0%) - 16 - 8
25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361 16 (4.4%) 5 12 12 13
26 한국투자공사 327 10 (3.1%) - 10 - -
27 노사발전재단 304 4 (1.3%) - 1 8 5
 
반응형
BI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