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캐스퍼를 아시나요?

by 꼰대이공공 2023. 2. 28.
반응형

캐스퍼하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작년에 노사관계 교육을 받으면서 광주글로벌모터스를 방문한 적이 있었습니다.

 

뭐, 사전적으로는 광주형일자리로 말하고 있고, 광주광역시가 지역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고안한 사업으로 기존 완성차업체 임금 절반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대신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복리·후생 비용 지원을 통해 보전한다는 일자리 창출 사업으로 정의합니다.(네이버지식사전) 

 

광주형일자리 조례 제2조제1항

광주형일자리란 사회적 대화에 기반한 혁신적 노사관계 및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기업하기 좋고 일하기도 좋은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지역사회 혁신운동

 

광주형 일자리 ‘상징’ 지우는 광주시? - 참여와혁신 (laborplus.co.kr)

 

광주형 일자리 ‘상징’ 지우는 광주시? - 참여와혁신

노동에 “국가가 베푼 것은 국가가 다시 가져가기 쉽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노동이 정책 등 결정 과정에 논의 주체로 참여하면 과정이든 결과든 정부나 기업이 마음대로 하기 어렵다

www.laborplus.co.kr

이런 모델이 사라질 수 있다는 사실에 씁쓸합니다.

 

캐스퍼가 탄생하기까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말씀드리면,

2014년 6월부터 윤장현 시장이 부임하고 정책아이디어를 브랜드화하면서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노동 및 고용정책 혁신을 도모하였습니다.

2015년 연구결과(광주의 자동차산업의 양극화 경향과 사회통합 저해상태 확인)

2016년 하반기부터 '더 나은 일자리 위원회' 실무위원회 가동

2016년 말, 4대 의제 정립

2017년 여름, 포괄적 기초협약 체결

2017년 사회통합지원센터를 통해 더 나은 일자리 위원회 중심으로 한 사회적 대화 등 사회적 소통사업 전개

2017년 12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선도모델 적용 연구결과 반영(적정임금, 적정노동시장, 원하청관계 조성 등)

2018년 3월 광주 '지역노사민정협의회' 이름으로 투자 희망을 내용으로 하는 결의문 채택

2018년 6월 현대차가 투자의향서 광주시에 제출

2018년 6월과 8월에 각각 투자협정서를 종니하려다 실패(노동계의 비판과 반대)

2018년 10월 원탁회의 구축을 통한 협상 재개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 투자유치추진단. 11.13.노정합의

2019년 1월 31일 협상타결

2021년 4월 29일 GGM 공장의 준공

2021년 9월15일 광주글로벌모터스 양산 1호차 생산 기념행사개최

 

아~~ 타이핑 힘듭니다. 사회적대화는 더 힘들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해냈습니다.(물론 다른분들이 ^^)

광주형 일자리 창출 모델 실험이 갖는 복합적 의미

한국형 제조업 리턴 실험 + 민관합작 법인 설립을 통한 사회연대적 일자리 창출실험

포용적 노동시장의 구축: 적정임금=연대임금, 사회임금의 성격 강화

포괄절 노사관계의 구축 및 지역 사회적 대화와 협약체계 활성화의 계기, 즉 일자리 거버넌스의 혁신

일터혁신과 탈경직화의 계기

 

우리사회의 고용과 일자리의 사회적 의미를 되새기고, 협치의 공간으로서의 일자리 계혁의 무대였던 광주.

그 개혁이 잘 자리매김할 수 있게 많은 주체들의 태도개선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BIG

댓글